[열역학] 1.3 Regular solution에서의 엔탈피(H), 엔트로피(S), 자유에너지(G) 변화 & Regular solution parameter
열역학 1.3 - Regular solution엔탈피, 엔트로피, 깁스자유에너지 변화 (H, S, G of mixing), Regular solution parameter 지난 포스팅에서는 Ideal solution에서 열역학적 변화특히, 엔트로피와 깁스 자유에너지의 변화(S, G of mixing)를 살펴보았다. 하지만, Ideal solution이라는 가정이 있기 때문에,조금은 더 현실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solution을 탐구해볼 필요가 있다. 그래서 오늘 포스팅에서는, Ideal solution이 아닌, 그렇다고 완전히 Real한 solution도 아닌Regular solution을 알아보고, 이 용액 내에서 열역학적 변화(S와 G)를 탐구해보겠다. 지난포스팅이 궁금하면 아래를 참고하자.2024..
2024. 10. 7.
[열역학] 1. Binary Solutions - 1.1 부분성질과 화학퍼텐셜, 깁스-듀헴 방정식 (Partial property, Chemical potential, Gibbs-Duhem equation)
열역학, 그 중 Binary solutions - 부분성질(Partial Property), 화학 퍼텐셜(chemical potential), 깁스-듀헴 방정식(Gibbs - Duhem equation) 오늘 포스팅부터는열역학을 공부하면서 중요한 것들을 뽑아 깔끔하게 정리해서 기록해볼까 한다. 아무래도 전공과목이다 보니, 개념에 대한 자세하고 친절한 설명을 하기에는 너무 글이 길어질 것 같아기본개념은 생략하고 중요한 내용만을 위주로만 포스팅해보려 한다.일반물리, 화학, 미적분학 수준의 개념을 알고 있다는 전제 하에, 글을 작성해보겠다.다소 양해를 부탁한다. 그래도 오늘 포스팅에서는부분 성질, Partail molar property에 다뤄보려한다. 이 부분성질은 열역학에서 여러 물질을 섞을 때, (mi..
2024. 9. 23.
[양자역학 기초지식] 에르미트 행렬과 브라-켓(bra-ket)표기법 & 해밀토니안의 행렬 표현
양자역학에서의 행렬 표현 - 에르미트 행렬(Hermitian Matrix), 브라-켓(bra-ket)표기법, 해밀토니안(Hamiltonian) 오늘 포스팅에서는양자역학에서 사용되는 에르미트 행렬(Hermitian Matrix)과 브라-캣(bra-ket)표기법을 알아보고,이를 기초해서 표현한 해밀토니안(Hamiltonian)의 행렬표현을 살펴보고자 한다. 각각의 개념에 대해 수학적, 물리적으로 깊게 들어가기 보다는,양자역학에서, 특히 해밀토니안을 정의할 때, 필요한 개념과 수식에 대해서만 정리해보려 한다.사실, 수학적으로 선형대수적 내용을 먼저 다루고 설명하는 것이 좋겠다만,일단 생략하도록 한다.(정말 죄송할 마음 뿐이라,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추가 설명을 달아두도록 하겠다...) 1. 에르미트 행렬(He..
2024. 4. 25.
[고체물리] 상태 밀도 함수 (Density of State : DOS) in 1D, 2D, 3D 유도하기
상태 밀도 함수 (Density of State : DOS) in 1D, 2D, 3D 유도하기 오늘 포스팅에서는상태 밀도 함수(DOS)를 유도하는 방법을 소개해보고자 한다. 상태 밀도 함수의 의미와 k-space에 대한 설명은 일단 생략하겠다.(정말 죄송한 마음뿐이다.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자세한 설명과 수식 타이핑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 1D, 2D, 3D 각각의 DOS가 모두 다르니, 주의 깊게 봐주면 되겠다. 파일은 아래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해두었다.Free Electron의 Density of States (DOS) in 1D, 2D, 3D 유도하기0. Free Electron의 파동함수가 갖는 Periodic Boundary Conditions먼저, Free Electron의 파동함수를 간..
2024.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