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양자역학에서의 행렬 표현 - 에르미트 행렬(Hermitian Matrix), 브라-켓(bra-ket)표기법, 해밀토니안(Hamiltonian)
오늘 포스팅에서는
양자역학에서 사용되는 에르미트 행렬(Hermitian Matrix)과 브라-캣(bra-ket)표기법을 알아보고,
이를 기초해서 표현한 해밀토니안(Hamiltonian)의 행렬표현을 살펴보고자 한다.
각각의 개념에 대해 수학적, 물리적으로 깊게 들어가기 보다는,
양자역학에서, 특히 해밀토니안을 정의할 때, 필요한 개념과 수식에 대해서만 정리해보려 한다.
사실, 수학적으로 선형대수적 내용을 먼저 다루고 설명하는 것이 좋겠다만,
일단 생략하도록 한다.
(정말 죄송할 마음 뿐이라, 시간이 허락하는 대로 추가 설명을 달아두도록 하겠다...)
1. 에르미트 행렬(Hermitian Matrix)
2. bra-ket 표기법
3. 해밀토니안(Hamiltonian)의 행렬 표현
가장 간단한 2-state system 에서만 살펴보았다.
오늘은 양자역학의 행렬표현에서 기본이 되는,
정말 중요한 개념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알아보았다.
사실 선형대수의 기본 개념들이 많이 등장하는 지라, 처음 본다면 이해하기 어려울 수는 있겠으나,
빠른 시일 이내로 포스팅을 수정하면서 보완설명을 덧붙여보도록 하겠다.
내용 중 질문 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달아주신다면 친절히 답변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전공 공부정리 > 고체물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체물리] 상태밀도함수 - Joint Density of States (JDOS) (0) | 2024.04.30 |
---|---|
[고체물리] Free Electron의 슈뢰딩거 방정식 - 파동함수 & 분산관계 & k의 의미 (Periodic Boundary Conditions) (2) | 2024.04.30 |
[고체물리] 유효 질량 (effective mass) 구하기, 물리적 의미 & 유도하는 법 알아보기 (0) | 2024.04.13 |
[고체물리] 상태 밀도 함수 (Density of State : DOS) in 1D, 2D, 3D 유도하기 (0) | 2024.03.30 |
[고체물리] 블로흐 정리 (Bloch Theorem) 유도하기 (5) | 2024.03.29 |